리눅스+맥OS

Ubuntu Mate에 qBittorrent 설치하기

qBittorrent 설치 # qBittorrent Stable sudo add-apt-repository ppa:qbittorrent-team/qbittorrent-stable Then install qBittorrent by doing this: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qbittorrent 출처: <https://www.qbittorrent.org/download.php> sudo add-apt-repository ppa:qbittorrent-team/qbittorrent-stable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qbittorrent 프로그램 -> 인터넷 -> 큐빗토런트 항목 확인 가능. 잘 실행된다. 웹 UI 설치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qbittorrent-nox sudo adduser qbtuser 새 …

더 읽기 »

Raspberry + Ubuntu Mate: 설치 후 디스크 용량 늘려주기

라즈베리 파이에 우분투 메이트 설치 후 디스크 용량 늘려주는 작업을 합니다. How to Resize and Expand the Filesystem of Ubuntu MATE for Raspberry Pi 2 df -h 로 용량 확인 sudo fdisk -l 59.5GB의 /dev/mmcblk0 이 보인다. sudo fdisk /dev/mmcblk0 d, 2를 차례로 입력. n, p, 2, 엔터, 엔터 w 를 눌러서 기록. 재부팅을 해야 적용됨. sudo reboot sudo resize2fs …

더 읽기 »

Regenerating OpenSSH host Keys

Raspberry Pi(Debian)의 SSH 키를 재생성함. sudo /bin/rm -v /etc/ssh/ssh_host_* key 파일을 지우고… sudo dpkg-reconfigure openssh-server 재생성한다. 새로이 SSH로 해당 서버에 접근하면 마치 처음 접속하듯, SSH Key를 물어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성공 ^^ via. http://www.cyberciti.biz/faq/howto-regenerate-openssh-host-keys/

더 읽기 »

UNIX: 숨겨진 파일과 폴더(Hidden files and folders)

아아… .(dot)으로 시작하는 파일/폴더가 숨겨진 파일 이었다니… 실행 파일인 줄 알았는데. ;; 이제야 알았다. —————- Mwultong님의 블로그 내용 ————- 리눅스/유닉스 히든파일 만들기; 숨김 파일 속성 주기; Make Hidden File, Linux-Unix Friday, November 10, 2006 리눅스/유닉스에서는, 파일명의 맨 앞에 마침표(.)가 있으면 히든파일 즉 숨겨진 파일이 됩니다. (다만 “숨김 속성”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그래서 mv 명령으로 파일명만 변경해 주면 히든파일로 변합니다. 이미 존재하는 …

더 읽기 »

SSH 접속: PuTTY(푸티) 설치하고 사용하기

푸티(PuTTY)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는 방법. google에서 putty 검색 putty.exe 클릭 초기 실행 화면. Apperance -> Font settings 에서 Change… 클릭 Consolas 폰트를 클릭하고, 14 사이즈 선택 Session 항목으로 다시 돌아감. Host Name: SSH서버명 Port: SSH용 포트번호 를 입력하고, 아래쪽의 Saved Sessions에 이름을 입력한 뒤, Save 단추를 누름. 저장된 프로필을 클릭하고, Open 단추 클릭(다음 번에는 Load 단추를 누르면 되겠지요?) 화면이 열리면, 아이디 / 비밀번호를 입력해 로그인. 끝! …

더 읽기 »

Postfix: 우분투 SMTP 메일서버 만들기

http://www.atblog.co.kr/?p=4877 를 보고 설정해봄. (결과는 부분실패… 어디서 오류가 난 건지 모르겠다… 추후 한번 더 도전해볼 예정.) sudo nano /etc/hostname mail.archmond.kr 입력. sudo nano /etc/hosts 192.168.0.10 mail.archmond.kr 위 내용 추가 sudo reboot (재부팅) hostname 명령을 내린 뒤 정상적인 호스트명이 나타나는지 확인. sudo apt-get install postfix sudo dpkg-reconfigure postfix (아까 본 화면이 다시 나타나지만, 좀 더 자세한 설정이 가능하다.) 안내문: OK 메일 …

더 읽기 »

Raspberry + Uboquity(Ebook, Comics, RAW Viewer)

라즈베리파이에 Uboquity 설치하기. 먼저 자바부터 설치하자. 라즈베리 파이에 자바 설치 echo "deb http://ppa.launchpad.net/webupd8team/java/ubuntu trusty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webupd8team-java.list echo "deb-src http://ppa.launchpad.net/webupd8team/java/ubuntu trusty main" | sudo tee -a /etc/apt/sources.list.d/webupd8team-java.list sudo apt-key adv --keyserver hkp://keyserver.ubuntu.com:80 --recv-keys EEA14886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oracle-java8-installer -y 참고: http://www.webupd8.org/2014/03/how-to-install-oracle-java-8-in-debian.html 라이선스에도 확인. javac -version 자바 버전 확인. sudo mkdir -p /opt/ubooquity cd /opt/ubooquity …

더 읽기 »

Raspberry + AirComix Server(라즈베리 파이에 에어코믹스 설치)

라즈베리파이에 에어코믹스 서버 설치하기. 일단 참조한 곳은 http://www.wsgvet.com/bbs/board.php?bo_table=iomega&wr_id=159 와 http://www.wsgvet.com/bbs/board.php?bo_table=iomega&wr_id=277 이다. https://github.com/song31/comix-server 에서 comix-server-master.zip을 내려받아 압축을 풀고, 아래와 같은 곳에 넣었다.(/home/pi/comix ) 그리고 handler.php와 index.php 내용을 살펴봄. handler.php 의 parent_path. /media/하단의 외장 하드의 위치로 했다. index.php의 내용은 그대로. openmediavault가 설치되어 있는 라즈베리 파이였지만, php5와 apache2를 설치해줌. http://archmond.net/?p=5751 참고 /home/pi/comix의 권한은 위와 같다. nano /etc/apache2/sites-available/comix 명령으로 <VirtualHost *:31257> DocumentRoot "/home/pi/comix" AllowEncodedSlashes …

더 읽기 »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 설치(Ubuntu Server)

리눅스 서버를 다루는 기술을 읽기 시작. http://www.ubuntu.com/server 에서 우분투 서버 다운로드. 테스트용으로 Windows Server 2012 R2의 Hyper-V에 설치. Install Ubuntu Server 한국어 예 아니오 101/104키 호환을 선택함. 사용자 이름 입력 수동으로 하드디스크 선택 예 남은 공간 새 파티션 만들기 2GB 스왑 영역 디스크의 앞부분에 만듦 용도를 선택 스왑 영역 파티션 준비를 마쳤습니다. 남은 공간을 할당 새 파티션 만들기 max 준비 …

더 읽기 »

CentOS: 리눅스 쉘 연습

CentOS로 리눅스 쉘 연습 중… 리눅스의 모든 것 All About Linux(서자룡 저, 청담북스)를 참고함. 7.2.1511 (Core 버전)으로 연습 버전 확인: $ grep . /etc/*-release grep은 유닉스를 위해 만들어진 텍스트 검색 기능을 가진 명령어이다. 그 이름은 유닉스 ed의 명령어로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g/re/p에서 유래되었다.[3] grep은 엄밀히 말하면 두문자어(머리글자로 된 말)은 아니지만 global / regular expression / print 에서 각각의 머릿글자를 따 …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