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4-01 학습 재개 watch는 연산(computed) 및 메서드와 같이 객체를 취한다. 정확히 말하면, 데이터 프로퍼티나 연산 프로퍼티에서 사용한 이름을 감시자에서 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음. 위의 경우, name이 변경될 때마다 감시자 메서드가 재실행됨. this.name이라고 참조할 필요도 없으며, 아래처럼(value) 적어도 동일. watch 프로퍼티의 마지막 값을 인수로 가져오기 때문. watch: { name(newValue, oldValue) {...} } 위와 같이 두 번째 인수(watch 프로퍼티의 이전 값)를 …
더 읽기 »Vue.JS: 양방향 바인딩(two-way binding)
v-model: v-bind:value와 v-on:input의 축약어. v-model은 양방향 바인딩. 데이터 바인딩과 이벤트 처리의 결합. html내에 메소드를 넣어서 직접 실행시키는 것은 좋지 않다. 다른 행동(관계 없는 버튼 클릭 등)을 하더라도 매번 해당 메소드를 재시작하게 됨. HTML 코드 내에 직접 메소드의 내용을 써버리면 매번 실행하지 않게 되지만, HTML 코드 내에 로직을 넣는 것은 좋지 않음. HTML은 웹 페이지의 구조와 콘텐츠를 정의하기 위한 마크업 언어입니다. …
더 읽기 »Vue.js Getting Started: How a Vue app starts
최근 프로젝트에서 앵귤러만 사용해왔는데, 뷰는 어떻게 시작하는 걸까? 고민을 하며 강의를 수강함. package.json에는 serve, build, lint가 존재. serve: runs the appbuild: going to run a production build process npm run build dist폴더가 만들어지고, 해당 폴더에는 index.html 등이 최적화되어 생성됨. src폴더에는 main파일이 있음 new Vue로 새 인스턴스를 만들고 있다. App이 html의 div id가 app인 요소에 마운트 됨. html은 public 폴더에 존재하며, …
더 읽기 »Vue.js Getting Started: Create and Serve
vue create hello-vue -d 새 웹앱을 만들 때 vue create문을 사용. -d를 사용하면 설정이 기본값으로 지정된다. 인터넷 연결 상태가 좋지 않아 겨우겨우 성공. .gitignore에 node_modules가 들어 있어서, 더 이상 해당 폴더를 추적하지 않게 됨. package.json을 보면 core-js와 vue에 대한 의존성이 보인다. 위쪽에는 serve 명령이 실제로 무엇을 실행하는지도 나타나 있음. npm run serve localhost:8080에 접속하면 Vue.js 환영 메시지가 나타난다. Vue CLI로 …
더 읽기 »Vue.js Getting Started: Hello World
Pluralsight의 Vue.js: Getting Started를 보며 실습 CDN에서 Vue 임포트해 사용하기 처음엔 CDN에서 내려받아 Vue.js를 구현 new Vue로 만든 오브젝트의 데이터 모델을 그대로 name에 출력하는 모습. input 필드의 값을 변경하면 하단 텍스트도 함께 변경됨. Vue Tool installation npm install -g @vue/cli 터미널에서 Vue CLI설치. 개발 속도 향상을 위해 CLI는 필수. vue, node, npm 버전 확인 Vetur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octref.vetur&WT.mc_id=vuegettingstarted-github-jopapa Vue Code Snippets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sdras.vue-vscode-snippets&WT.mc_id=vuegettingstarted-github-jopapa …
더 읽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