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 Windows Server 액티브 디렉터리 기초(꼬알라 공부방)

강의 개요

  • 강의: 러닝웨이코리아 | 2014-01-22 | 오전 9:30~오후 5:00 | 백승주부장님
  • 내용:
    1. 액티브 디렉터리 개념 (도메인, 포리스트, 사이트, 트리, 도메인 컨트롤러, 글로벌 카탈로그, FSMO 등등)
    2. 액티브 디렉터리의 설치
    3. 계정 및 그룹 관리
    4. 그룹 정책을 통한 인프라 기본 관리
  • 소감: 작년 이맘때 IT 엔지니어가 되겠다고 마음먹은 나에게 중요한 시작이 되었던 강의. 한 해가 지났지만 여전히 중요성을 몸으로 체감하고 있는 Active Directory에 대한 이야기. 마지막으로 열리는 강의라는 말에 밤샘 끝에 긴 포스팅을 하고(…) 부리나케 참석했다. 작년에 참석하여 메모한 내용은 여기에서 볼 수 있다. 강의 중간중간 옆 자리에 앉은 분과 소소한 대화를 나눴다. 나이 차이가 별로 나지 않아 보이는 분이었는데, 때마침(?) 아크몬드라는 닉네임을 알아봐주셨다. 강의 내내 꼬알라님께서 내 닉네임을 불러 주신 덕분이기도 하다. 좋은 강의를 빠지지 않아 다행스러운 생각이 들었다.

필기한 내용

현 상황 이야기

  • 우리 엔지니어는 배포는 잘하는데 원리는 잘 모른다.
    • 기술의 의의를 알아야 함
    • Why를 알면 How-to는 자동으로 된다
  • 서버 구조 변화
    • 2003 : 다 열려있고 안쓰는 것을 막기
    • 2008 : 다 닫혀있고 쓰는 것을 열기
      • 그래서 어려워졌다.

보안의 3단계

  • id -> auth (인증) -> authorization(허가)
  • Authentication(인증): who am I? 로그온할때 id와 암호 물어보는 부분 -> 그 사람이라는 것을 증명
  • Authorization(허가): Attendee를 들고 Speaker Room에는 못 들어감
    • Right: 권한
    • Permission: 사용 권한

※ Right은 행위(what to do), Permission은 대상에 대한 행위를 말함. 못하는 것에 대한 구분을 확실히 하자.

clip_image001[6]

▲ 사용자 권한 할당(user right assignment) 항목들을 보자.

clip_image002[4]

▲ 여기에 everyone을 넣으면 아무도 로그온할 수 없다

clip_image003[4]

▲ 이런 권한에서 Administrator를 빼면 어드민도 해당 작업을 할 수 없게 된다.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

  • 지문, 동공 등(Biometric-Authentication)
    • 신체도 완벽한 것이 아님

Encryption(암호화)

  • Symmetric Key(대칭키)
    • +3, -3 등 암호화와 복호화 키가 같은 경우
    • 중간에 키를 훔쳐가면 암호화 의미가 없어짐
  • Asymmetric Key(비대칭키)
    • 암호화, 복호화용 키가 따로따로
    • PKI
      • 공개키와 개인키가 별도
      • 인증서를 발급하는 기관: CA(인증기관)
    • https
      • 인증서가 있다는 것은 비대칭키(공개키와 개인키가 있다는 것)
      • 한번 인증되면 대칭키로 인증해서 시스템 부하가 줄어듦

Mutual Authentication(상호 인증)

  • 무결성을 보장하려면 전자서명(Digital Signiture)이 있어야 함
    • A가 B의 공개키로 암호화해서 보내면 B의 개인키로만 풀어볼 수 있음, 반대의 경우까지 완료되었을 때 서로 나오는 데이터가 동일할때 보안성을 유지했다고 볼 수 있게 됨

OSI 7 Layers

  • 각 계층은 잘 알지만 TCP/IP와 연계해서 이야기해보라고 하면 잘 못함
    • 192.168.0.1/24 의 의미? 1이 8개 x 3 = 24개
    • 255.255.255.240 이라는 서브넷 마스크도 있음
  • 후니의 CCNA 책 정도까지는 봐놓는 것이 좋다

왜 AD라고 합니까?

  • Directory: 주소록, 전화번호부
    • 마이크로소프트는 어떤 식으로 직원 명부가 되어 있을까?
  • Active: 살아 있는
    • 주소록의 단점은 뭔가 바뀌면 손을 크게 봐야 함
      • 주소록이지만 내가 원할 때 무언가 변경을 하기 좋은 디렉터리라는 의미

MS가 엔터프라이즈 라고 보는 기준

  • PC가 70대 이상이라고 함

AD를 쓴다는 것은 ID를 주는 Provider가 누구냐는 것

  • DC가 인증을 하는 주체
    • DC에서 만든 계정을 쓰려면 Domain에 Join해야 함
  • 계정 관리를 중앙에서 하기 때문에 편리함

네트워크 폴더에 액세스할 때 인증창이 뜬다?

  • 니가 누군지 모르겠다는 의미.

AD가 없더라도 로컬 컴퓨터마다 ID, PW를 동일하게 하면 원격 관리도 하나의 계정으로 모두 가능

  • 하지만 하나의 컴퓨터가 비밀 번호가 바뀌면?? 싹다 바꿔야 하겠지..-_-
  • 조금만 신경쓰지 않으면 보안성이 확 떨어짐

AD를 쓸 때 C$, D$ 사용하는 것

clip_image004[4]

▲ 인증창이 뜨지 않게 하는 것이 Guest only. (Windows XP Home Edition의 방식)

clip_image005[4]

▲ Guest 계정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있음.

중앙 정책 관리 기능

  • DC에서 관리 가능

clip_image006[4]

▲ 사용자의 시작 메뉴 관련 정책은 여기에

계정은 어디에 저장될까?

SAM DB에 저장됨(NT 시절 이야기)

  • Registry에 저장됨(SAM DB는 레지스트리에 있음)
  • Registry 최대 용량이 50MB
    • 총 계정은 5000개 만들 수 있음

※ Windows NT때는 Active Directory라고 하지 않고 SAM DB라고 불렀다고…

AD안에 있는 것은 뭘까?

  • DB(LDAP 프로토콜 사용 – 포트 389)
    • 계층형 DB(그래서 읽기만 빠름)이며 R(관계형)DB가 아님

Active Directory LDS(Lightweight Directory Services)

  • 옛날에 ADAM으로 부름
  • AD의 DB만 설치해주는 것(LDAP DB)
    • LDAP DB만 쓰는 서비스

AD 인증에 Kerberos 사용함

  • 암호화 표준

AD는 모든 것이 개체(Object)

  • 사용자를 만들면 상단에 ‘새 개체’라고 나옴
    • 사용자 속성 하나하나가 Attribute임
  • 자전거를 생각했을 때 Object는 Attribute를 가진 가장 작은 단위
    • Object를 만들면 무엇인가가 다닥다닥 붙어서 생성됨
  • 개체라고 하면 속성도 있다는 것
    • AD의 개체를 선택해 속성을 보면 Attributes를 볼 수 있음
    • ex) givenname, surname, proxyAddresses(Exchange에서 사용하는 e-mail 주소), displayname, l(location) 등
  • 뼈대가 있다는 이야기!
    • scheme: AD의 뼈대

DB이니까 쿼리가 가능해야 함

  • AD 관리 도구에서 찾기에서 고급에 들어가면 LDAP 쿼리를 넣을 수 있다.
    • ex) 직원 중 ‘백’씨를 다 찾아와라고 했을 때?

스키마

  • 사번으로 아웃룩에서 메일을 보내고 싶을때!
    • 스키마에 사번 속성을 만들어서 넣어주면 된다고…
    • Scheme안에 Attributes이 있음
  • AD를 설치하고 Exchange를 설치하면 Scheme 확장부터 들어감
    • 첫 단계임(포리스트 준비)
  • mmc에서 scheme 편집 가능

AD DB의 경로

  • C:\Windows\NTDS
    • Exchange Server와 동일한 형태의 DB 폴더 내용을 보여줌

도메인

  • AD를 만들면 첫번째 질문이 도메인의 이름임
  • 중앙에 DC가 있고 주변의 클라이언트가 DC에 가입되는 구조
    • AD의 도메인의 범위는 DC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곳

도메인 설계

  • Business Request 에서 정치적으로 관계가 좋지 않으면 같은 곳에서 일하더라도 분리해야 할 경우가 생김
    • 또는 네트워크 속도가 엄청나게 차이날때 분리해야 할 수도 있다.(56kbps…)
  • 실제로는 도메인이 1개 있는 것이 이상적
    • 도메인이 하나라는 의미: 도메인 컨트롤러가 같다는 것
    • 가장 이상적인 것은 1 forest, 1 domain
  • DC의 배치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진다
    • AD에서 정답은 없음
    • 하지만 한번 만들면 바꾸기 아주 힘들다

Forest

  • 같은 scheme를 쓴다는 의미
  • domain과 tree 형태로 연결됨
    • 기술적으로는 Trust가 Tree임!

OU(조직 구성 단위)

  • AD에서 묶을 수 있는 컨테이너
  • OU를 만드는 이유 3가지
    • 관리하기 편하려고(보기 좋으려고, 정리하려고)
    • 그룹 정책을 반영하기 위한 최소 단위
    • 제어 위임(자주 하는 작업의 권한을 특정 계정에 부여할 수 있다)
      • ex) 암호 재설정
      • OU에서 단축메뉴를 열어보면 나옴
  • 특정 OU에서 단축메뉴를 열어서 ‘여기에서 새 창 만들기’하면 특정 OU만 볼 수 있음
    • 그 화면을 *.msc 파일로 만들어 주면 됨

mmc(관리 콘솔)

clip_image007[4]

▲ *.msc 파일들임

**** 설치(실습) ****

dcpromo는 Windows Server 2012부터 할 수 없음

clip_image008[4]

AD 장애 70~80% 이슈는 DNS 관련

clip_image009[4]

clip_image010[4]

악성코드가 hosts 파일에 이상한 IP와 매칭해서 Windows Update가 안되게 만드는 경우가 있음

UNC 경로를 입력하면?

  • DNS 서버에 가서 물어봄.
    • AD에 가입되어 있다면 unc경로에 자동으로 .domainname을 붙여줌
  • 사용자 id, pw 입력 창: ‘난 너 몰라’라는 의미

WINS

  • NETBIOS를 DNS 이름으로 바꿔줌
  • 2003이후에는 WINS를 쓰는 서비스는 Windows에는 없음

LMHOST

  • NETBIOS 이름을 맞춰줌

clip_image011[4]

도메인을 만들 때 우리가 실제로 사용하는 형태의 도메인 주소를 넣어줘야 함

  • NETBIOS 호환성도 중요
  • 기존에 같은 도메인명이 있는지 확인하게 됨

DC 배치

외부

DMZ

내부

사용자

DNS

DC(DNS)

외부와 DMZ의 DNS가 소통하고, 그 DNS 서버가 내부의 DC(DNS)와 소통

  • 이런 형태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있음
  • 하지만 Split-DNS는 하나의 서비스를 추가할 때마다…

내부에 DC가 있을 때 외부 사용자가 조인을 해야 한다고 하면 VPN을 사용할 것.

  • DC를 DMZ에 넣으면 안 됨!

clip_image012[4]

DSRM 암호: DC의 하드웨어에 문제가 생겨 안전모드로 넘어갔을 때 사용

clip_image013[4]

SYSVOL

  • 그룹 정책이 저장되는 곳

A가 B에게 차를 빌려줄때 A가 B를 신뢰해야 함(당연)

A.com(꼬알라) <-> B.com(아크몬드)

DC <-> DC

Resource Domain <-> Account Domain

DC끼리 트러스트를 맺으면 자동으로 양방향 트러스트가 됨

  • 상하관계에 있는 DC는 계단식으로 트러스트할 수 있음
  • 현실세계에서는 A가 B를 믿고 B가 C를 믿는다고 A가 C를 믿을 수는 없지만 AD에서는 가능
  • 트러스트의 단위는 도메인 단위
    • 2003년에 닷컴버블 빠지면서 인수합병이 많았다. 그래서 트러스트를 여러 서버끼리 할 필요가 없이 대왕(?)끼리 트러스트를 하면 만사가 해결됨
    • 합병 시 DNS끼리 룩업이 안되기 때문에 DNS끼리 서로 알게해주면 됨
      • 조건부 전달자

clip_image014[4]

DNS끼리 룩업시키기위해 조건부 전달자 추가(상호 알 수 있도록)

clip_image015[4]

여기에 추가하면 됨

DNS

정방향 조회

  • hostname -> IP

역방향 조회

  • IP -> hostname

clip_image016[4]

DNS 서버 속성을 보자

clip_image017[4]

먼저 루트(.)를 찾아간다 com -> koalra -> www 순으로 리턴

  • 루트 힌트(Root hint): 최상위 도메인
  • 위에 나오는 이름 서버를 모두 지워버리면 외부로 못나감.

clip_image018[4]

TTL: Time to live

DNS 값을 못 찾았다는 사실도 캐시를 하고 있음!

DNS는 리턴했을 때 먼저 자기와 같은 서브넷을 가져옴(우선 순위가 높음)

clip_image019[4]

SRV 레코드

  • 서비스를 알려주는 레코드

clip_image020[4]

클라이언트가 DC를 쿼리하는 방법

  • DNS를 Lookup. (서비스 레코드를 찾아보게 됨. DC를 만들면 자동으로 SRV 레코드를 만듦)
  • DC에 LDAP으로 쿼리를 넣어본다.

clip_image021[4]

DNS에서 가져온 값들의 목록

  • DC가 잘 깔렸을지 보는 방법이 이 SRV 레코드가 올라와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 만약에 SRV 레코드가 지워졌을 때 AD DS 서비스가 재시작되면 다시 만들어지게 된다.

clip_image022[4]

드디어 AD DS가 서비스로 올라와 있음

clip_image023[4]

DC들의 성능이 달라서 머신별로 처리량을 다르게 해야 할 때?

  • 가중치를 가지고 조절함
  • 가중치가 낮을수록 먼저 처리
  • _tcp 에 있는 모든 값에 대해서 작업해야 함

clip_image024[4]

DNS 서버 속성: 외부로 나갈 때 특정 DNS를 통해 나가야 한다면 전달자를 설정하면 된다.

※ MCSE 시험 내용이 아주 좋다. 덤프만 봐도 여러 시나리오를 만날 수 있음

[[ 2번째 DC 올리기 ]]

clip_image025[4]

IP, Subnet mask, Gateway 넣고 기본 DNS를 DC01의 것으로 넣는다.

clip_image026[4]

DC02에서도 AD DS를 올린 뒤에 DC로 승격

clip_image027[4]

기존 도메인에 추가

clip_image028[4]

이런식으로 가입한 뒤 도메인명\Administrator로 접속하면 됨.

clip_image029[4]

고급 보기를 선택해야 특성 편집기가 보임

clip_image030[4]

앞의 CN은 Common Name, 뒤의 CN은 ContaiNer라는 뜻.

  • 전체 Forest에서 Unique한 값이 되어야 함

clip_image031[4]

department에 값을 넣으면?

clip_image032[4]

조직 탭을 보면 sales가 나타나 있다!

clip_image033[4]

ADSI 편집기

clip_image034[4]

컨텍스트란? 범위라는 의미

clip_image035[4]

싹 다 열어서 보자…

remind: 스키마? 뼈대.

clip_image036[4]

AD 사이트 및 서비스

clip_image037[4]

구성 -> Sites 부분을 보면 AD 사이트 및 서비스 값과 흡사하게 나옴

구성에서 Services -> Microsoft Exchange에 들어가 보면 익스체인지 관련 설정들이 다 저장됨

DNS에서 정방향 부분의 서버 속성을 보면?

clip_image038[4]

DNS 복제 옵션.

clip_image039[4]

기본값. 이 옵션때문에 DC을 올릴 때 DNS가 쌍으로 복제됨.

도메인과 포리스트의 차이는?

  • 포리스트 > 도메인
  • 같은 포리스트일 때 스키마가 같다
  • 도메인에 대한 구분만 틀릴 뿐 같은 포리스트에서 큰 틀은 같다

[[ AD의 DB를 그려보자 ]]

DC1

DC2

구성

구성

스키마

스키마

도메인

도메인

 

 

위 두 DC가 복제하는 중

다른 도메인에 DC3 만들어 DC2와 트러스트하면?

DC3와 DC2는 도메인 외에 복제.

DC3

DC4

구성

구성

스키마

스키마

도메인

도메인

 

 

DC3와 DC4가 같은 도메인이면 서로는 도메인까지 복제. 아하.

clip_image040[4]

DC가 잘 구성되었을 때(DC 유형이 GC임)

clip_image041[4]

NTDS Settings을 보면 글로벌 카탈로그에 체크되어 있음

  • 3268 포트를 사용함.
  • 2003 시절은 처음으로 설치한 DC만 GC였다고 함.
  • AD에서 무엇인가를 찾아 쓴다?
    • GC를 사용한다는 의미

모두 GC일 때 네트웍이 아주아주 느린 곳이 있다면 오히려 그 서버는 GC 기능을 끄는 것이 답일 수도 있다

clip_image042[4]

AD 스키마 추가

clip_image043[4]

스키마를 보자

clip_image044[4]

원하는 속성에 가서…

clip_image045[4]

ANR이 Exchange에서 이름 컨버팅 하는 부분.

  • 사번을 만들고 ANR을 켜주면 됨.

clip_image046[4]

Subnet에서 새로 만들어봄.

clip_image047[4]

사이트를 만들어보자

clip_image048[4]

사이트 링크 개체를 선택하십시오:

서브넷이 서울(10), 광주(11), 부산(12)이 서로 다를때 서울은 10, 광주는 11, 부산은 12 서브넷의 DC를 찾는 것이 빠르겠지?

※ 네트워크가 여러 개 있다면 네트워크 구조를 맞춰주는 ‘사이트 및 서비스’에 들어가서 사이트를 추가해 서버를 옮겨주는 형태로 작업을 해야 한다고 함

  •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하나의 사이트로 묶어줌
  • 사이트를 왜만드냐? 네트워크가 틀려서 조절해야 할 때

clip_image049[4]

네트워크 트래픽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

clip_image050[4]

기본적으로 복제되는데 3시간이 걸린다고 되어 있음

clip_image051[4]

일정 변경을 누르면 시간대를 선택 가능

사이트간 복제는?

사이트 내의 DC끼리는 빠르게 복제, 네트워크 트래픽의 압축을 하지 않음

clip_image052[4]

[자동 생성됨]을 보자. 서버’에서’ 라는 내용이 중요. Full 복제를 하게 됨

clip_image053[4]

clip_image054[4]

왜 자동 생성됨일까?

  •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DC간 복제를 하도록 자동으로 설정됨. 물론 수동으로 변경도 가능.
  • DC가 새롭게 설치될때마다 체크를 함
  • 집에서 DC를 한대 더 올려서 복제를 걸어봐야겠다.

※ 인프라에서 SPOF(single point of failure? 단일 실패 지점)을 만들지 마라!

ABC가 서로 복제하고있을때 A<->C 비용 200, B<->C 비용 200이고 A<->B 비용 100이면 비용이 싼 A<->B로 복제하다가 그 복제가 문제가 나면 우회해 A<->C, B<->C 로 복제하게 됨

clip_image055[4]

강제 복제하기

clip_image056[4]

커맨드 프롬프트에서.

[꿀팁]

clip_image057[4]

DC01에서 DC02로 복제 명령을 수행하도록 시킴

clip_image058[4]

DC01에서 DC02의 ip 조회

clip_image059[4]

DC02의 프로세스 목록 확인

AD에 가입할 때 자기 계정을 넣으면 됨!

  • Administrator를 넣을 필요 없음!
  • 최대 10대까지 할 수 있음
    • ADSI 편집기에서 DS-MachineAccountQuota를 편집하면 이 값도 편집 가능

clip_image060[4]

AD에 가입된 Client PC가 올라옴

컴퓨터도 계정이 있는데, 그 계정에도 암호가 있고, 30일 주기로 암호가 바뀐다고 함(알아서 바뀜)

  • AD에 가입된 컴퓨터가 30일에 한 번이라도 교신이 안되면 DC에서 쫓겨난 것이라고 봄

clip_image061[4]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속성을 열면 특성편집기가 나옴. whenChanged가 30일 이상이면 사용하지 않는 계정이라고 함

  • 쿼리로 찾아낼 수 있겠죠?

Default Container

  • 새 사용자/컴퓨터 만들 때 Users나 Computers가 아닌 다른 곳에 저장되길 원할 때

Bulk Export/Import

AD DS Logon Process

clip_image062[4]

Administrator을 쓰지 말라는 이유

  • Built-in 계정의 SID가 규칙성이 있다.

klist

clip_image063[4]

Kerberos 토큰을 봄

  • AD에서 암호의 역방향 해독 안됨

TGT(a Ticket to Get Tickets) : 암호화된 암호

  • 티켓을 주는데 티켓을 암호화해서 줄때 이 티켓이 정말 DC가 준 것인지 확인하게 됨.
  • 암호화된 암호를 사용해 암호화해서 보내준다고 함.ㅎㅎ
  • 상호 인증을 통해 굳이 DC에 한번 더 가지 않게 해 줌

clip_image064[4]

DC01에서 DC02를 UNC경로로 접근한 뒤 klist를 실행하면 cifs관련해서 캐싱이 된 부분을 보여줌(마지막 부분)

※ klist purge : klist를 다 지워줌.

AD의 커베로스 인증

  1. TGT내가 갈 곳의 티켓 받기
  2. TGS 서비스 티켓 받기
  3. 서비스 티켓을 주고 세션을 할당받음(DC에 다시 가지 않아도 됨)

clip_image065[4]

컴퓨터 계정의 위임 탭

clip_image066[4]

cifs 등을 보자.

커베로스는 표준이기 때문에 Linux, OSX등은 AD가입은 안되더라도 SSO는 할 수 있음.

[[ Operation Masters ]]

옛날엔 PDC에서 고쳐서 BDC에 내려보내는 형식(Single-Master Replication Model)

현재는 DC <-> DC (Multi-Master Replication Model)

개체의 속성 변경 시

※ Attibutes 단위로 충돌나지 않으면 내용이 합쳐짐(Windows Server 2003 이후)

clip_image067[4]

스키마 마스터 변경

clip_image068[4]

도메인 구조와 관련된 것은 도메인 명명 마스터

  • 도메인 구조를 바꾸기 전까지 얘가 죽어도 아무 문제가 없음

clip_image069[4]

AD 사용자 및 컴퓨터에서 작업 마스터 들어가기

clip_image070[4]

RID 마스터가 1000개를 가지고 있어서 바닥날때까지 문제 발생하지 않음

clip_image071[4]

AD에 조인하면 시간동기화가 되는데 그 시간이 동기화되는 메인서버가 PDC 에뮬레이터임

  • PDC 서버를 ntp(network time protocol) 서버와 동기화하는 것이 필요 – 검색하면 나온다고 함
  • 사용자 암호가 변경되었다고 PDC에게 알려준다고 함. 암호가 정상적으로 바뀌었는지 확인하는 역할.
  • 얘가 잘못되면 옛날 암호로 접속되게 됨. 문제가 커짐.

clip_image072[4]

인프라 마스터

지금은 작업 마스터라고 하는데 윈도우 2000때부터 하던 부분은 FSMO라고 부름.

[[ 정리 ]]

  • AD는 최소 2대
  • AD중 하나가 잘못되면 사용자 및 컴퓨터에서 잘못된 DC를 지우면 쓰레기값을 날려줌!
    • 그리고 FSMO를 이전해줘야 함

※ 2003 DC를 2012 R2로 옮기고 싶을 때?

2003에 2012 추가 DC를 만들고 마이그레이션하면 된다고 함

[[ DC를 VM으로 만들 때 ]]

AD는 검사점을 사용하면 안 됨

  • 과거로 돌아갈 수 없는 설계
  • 2012부터는 DC 수준이 2012이상이면 오류는 나지 않는다고 함

DC의 DNS를 바라보게 하는 것을 크로스로 작업해주면 좋음(1은 2/3을, 2는 1/3을, 3은 1/2를 이런 식으로)

AD에서 무엇인가를 삭제하면 Tombstone을 만들고 60일간 보관을 한다고 함.

clip_image073[4]

휴지통 사용하면? 못바꿈

clip_image074[4]

Deleted Objects가 생김. 복구 가능해짐.

clip_image075[4]

도메인 전체에 대한 정책

clip_image076[4]

회사에서 10000대의 컴퓨터에 동일한 정책을 적용하고 싶을 때? 정책으로!

clip_image077[4]

필터를 잘 사용하면 좋다.

clip_image078[4]

필터를 사용해서 찾으면 편리!

clip_image079[4]

상속 차단으로 밑으로 내려보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AD 계정과 관련된 정책은 최소범위가 도메인임. 중역을 위해 도메인을 따로 만드는 경우가 있다고 함 ;;

  • FGPP(세분화된 암호 정책)
    • 암호 정책을 그룹 단위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
    • 암호에 대한 것만
  • 2003 이전은 도메인을 쪼개야 함

※ 암호 복잡성이 준비되지 않으면 보안의 50%를 날리는 것이 됨.

[[ 팁 ]]

clip_image080[4]

기본 정책을 복원해주는 유틸리티 dcgpofix

clip_image081[4]

도메인 정책의 SID가 옆사람 PC와도 똑같구나! 기본 정책은 SID까지 동일한듯.

clip_image082[4]

그룹 정책 관리에서 SID를 확인해도 동일.

gpupdate / gpresult

RSOP? Resultant Set of Policy

clip_image083[4]

신기하네

clip_image084[4]

그룹에 프로그램 배포용

clip_image085[4]

네트워크에서 프로그램 설치에서 볼 수 있다고…

clip_image086[4]

새 그룹 만들기

그룹 종류

  • 배포: exchange 메일 보내기용
  • 보안: SID가 있음

그룹의 범위

  • 도메인 로컬: 서버에 쓰기 위한 그룹{ex) ‘DL – KORSVR01 – READ GROUP’을 만들어 파일 서버에 등록해놓기}
  • 글로벌: 사람을 묶기 위한 그룹{ex) ‘G – 그룹명 – ‘}
  • 유니버설: 회사 전체를 묶는 데 사용. GC에 저장된다.

※ 그룹 제대로 쓰는 법

  • 일반적으로 계정(A)을 그룹(G)에 넣고 권한(P)을 넣어도 작동이 되긴 함. 하지만 유지관리 부분에서 비효율적.
  • A->G->DL->P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 좋음

AD의 목적

  • DC에서 계정에 대한 모든 것을 해결하자

RODC(Read only DC)

  • RODC를 공격하더라도 변경 불가한 이점 활용 가능

AD에서 팁

  • 명명규칙!
  • 예제
    • DL – KORSVR01 – READ GROUP
    • DL – KORSVR01 – FULLC GROUP
    • G – SALES – GROUP
    • 마이크로소프트의 경우 컴퓨터이름에 KRDPEPC001
    • 이름의 경우 sjbaek
  • 퇴사했을 때 계정에 설정이 많다면 그 계정을 변경해서 주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
    • MS는 퇴사 시 3년간 계정을 잠궈놓는다고 함, 도중에 다시 입사하면 활성화

Dynamic Group Membership

  • MS에서는 DAC라고 부름
    • Client가 Windows 8 이상이 되어야 함

※ 우리는 권한을 할당했다가 빼는 일을 잘 못함. 이럴때 Dynamic Group Membership을 사용하면 편리!

※ Office 365와 회사 도메인을 묶고 싶어요! 했을 때 회사 도메인 컨트롤러와 Azure DC와 묶기 힘드니 웹기반으로 트러스트를 맺는 것이 좋은데 AD FS를 사용하면 됨.

표준 기술이라 대부분의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지원함.

이것도 살펴보세요!

WSL: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배포 삭제하기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 현재 설치된 배포판 리스트를 확인 wsl -l 배포판을 삭제해갑시다 wsl --unregister 배포판이름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